원격 접속 환경에서 개인 PC를 이용하는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재택근무가 활성화 된 것도 원인 중 하나입니다.
컴퓨터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윈도우MSTSC, 팀뷰어, 크롬 원격데스크톱이 있습니다.
아마 팀뷰어가 가장 익숙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광랜 보급 초기부터 사용되었던 기억이 있네요.
글쓴이는 "크롬 원격데스크톱"을 선택해서 사용중이고,
이 글에서는 해당 기능을 설치하는 방법(매우 간단함)과
전체화면 만드는 방법을 포스팅 하였습니다.
1. 원격 소프트웨어 주관비교
먼저. "윈도우 MSTSC (원격 데스크톱연결)"은 윈도우 자체 제공 기능이라서
윈도우 <-> 윈도우 환경에서 연결시 가장 쾌적한 연결이 가능합니다.
"팀뷰어"는 무겁고 기능이 많다면, "MSTSC"은 가볍고 빠르고 정확합니다.
반면 "크롬 데스크톱 연결"의 첫 인상은 간편한데 좀 느립니다.
스크린샷을 찍을 때도 컨트롤 패널을 열어서 PrtScr 누르기 라는 버튼을 클릭해야 합니다.
하지만 요새 아이폰을 제외한 개인 장비(컴퓨터, 스마트폰 등)은 모두 구글계정에 로그인이 되어있습니다.
PC의 인터넷 익스플로러도 크롬 사용이 주류가 되었죠.
어디서든 내 구글 계정이 로그인된 PC는 접근이 가능하다는 얘기입니다.
그점을 고려한다면 구글이 제공하는 "원격 데스크톱"은 정말 강력합니다.
구글 원격 데스크톱은 가볍고, 편리하고, 접근이 쉬운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MSTSC 대비 느립니다.
최대 장점중 하나로 안드로이드 폰에서 PC접근이 굉장히 쉽습니다.
폰에서 구글 원격데스크톱 앱을 설치하고, 제어하고자 하는 컴퓨터에 크롬 애드온을 달아두면
어디서든 컴퓨터를 쉽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최근 안드로이드 UI업데이트 이후로 키보드 기능에 문제가 있는 것 같지만
기본 기능은 굉장히 충실하게 구현되어 있습니다.
2. 크롬 원격 데스크톱 설치하기
원격으로 제어를 하고 싶은 컴퓨터에서 크롬을 이용해 구글에 접속합니다.
크롬 브라우저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입니다.
자세한 설치과정은 어려울게 없으니 생략하겠습니다.
https://remotedesktop.google.com/
3. 전체화면 만들기
굉장히 간단하게 설정이 가능하지만,
저는 찾는데 꽤 오려걸려서 포스팅으로 남겨둡니다.
화면 우측에 보면 파란색 화살표로 컨트롤 패널을 열 수 있습니다.
컨트롤 패널을 열면 여러 기능들이 있습니다.
그중에 상단에 "전체화면" 을 체크하면 전체화면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참고로 크롬 원격에서는 키보드의 스크린샷 키가 작동을 안합니다.
컨트롤 패널에서 스크린샷 누르기를 해줘야 합니다.
'컴퓨터, IT > 블로그,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블로그 설정] 본인 접속시 조회수 제외시키기 (2) | 2021.06.17 |
---|---|
[구글블로그 설정] 라벨 항상 보이게 펼쳐놓기 (0) | 2021.06.16 |
티스토리 메뉴에 배경화면 추가하기 (Poster 스킨수정) (0) | 2021.06.11 |
티스토리 좌측 메뉴에 검색창 추가 (Poster 스킨) (1) | 2021.06.10 |
[블로그 플랫폼 비교] 네이버 vs 티스토리 vs 블로거 (0) | 2021.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