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IT/채굴

채린이 채굴 도전기 #1 - 시작 이유와 사전 고려사항 (feat.전기요금 계산)

반응형

본 포스팅은 글쓴이가 채굴에 입문한 내용을 일기 형식으로 간략하게 정리해두었습니다.

그래픽 카드를 많이 장착하는 채굴기를 시도한 것은 아니고, 구형 카드 1장으로 노익장 광부를 조립했습니다.

 

참고로 저는 채굴을 이전부터 하던 자영업자가 아니에요. 이번에 처음 입문한 초보입니다.

글에 서투른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감안해주세요.

 

글쓴이는 컴퓨터 자가 조립이 가능하고, OS를 설치할 수 있고,

컴퓨터를 조금 다룰수 있는 배경지식이 있는 상태로 시작했습니다.

 

 

 

 

1. 심심한데 한번 만들어볼까?

 

요즘 한국시장은 힘이 없는데 미국주식과 원자재 가격이 오르네요.

암호화폐도 사상 최고치를 갱신하고 있다고 합니다.

 

날씨도 제법 선선해지고 무언가 정신을 쏟을만한 테마를 고민하다가,

문득 채굴을 떠올리게 되었습니다.

 

 

"부모님 댁이 위치도 가깝고, 전기도 많이 사용을 안하셔서 누진세 최고구간까지 남는 전력량이 있을텐데,

그것을 활용해서 조그마한 채굴기를 하나 돌려볼까?"

 

라는 생각에 바로 착수해 보았습니다.

 

 

 

 

2. 무엇을 고려할지?

뭐든 만들기전에 사이즈를 재보고 도전해야죠 ㅋㅋ.

컴퓨터 조립이야 부품이 비싸서 그렇지 시켜만 준다면 레고 조립하듯이 재밌게 즐길 수 있어서 좋아요.

 

하지만 앞뒤 안보고 부품부터 주문해버리면 난감해 질 수 있으니까,,

시작 하기 전에 신경을 써서 각을 재보았습니다.

 

2-1) 전기요금 (가정용 전기)

일단 "가정용" 채굴기를 돌린다면 전기비용이 얼만큼 나오고 채굴되는 코인은 현금가치가 얼마인지 따져보아야겠죠.

취미로 하는 것이지만 이런 계산을 안하면 재미가 반감됩니다.

 

당연한 것이지만 대한민국의 전기는 한국전력공사에서 제공하며,

사용 목적에 따라서 종류가 나뉩니다.

가정용 전기는 "주택용"으로 분류되고 저압과 고압의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아파트에서는 고압용이 들어오는 경우가 보통인 듯 합니다.

 

주택용(고압) 기준으로

하계에는 450kWh 초과 기준으로 210.6원 / kWh

기타계절 400kWh 초과 기준으로 210.6원 / kWh 입니다.

 

3단계 구간으로 비용이 정해져 있으며,

"1kWh당 대충 2백원 보면 되는구나" 라고 인지하면 될 것 같습니다.

 

https://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E/E/CYEEHP00101.jsp

 

 

 

다음은 얼마의 전기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보아야겠죠?

아파트라면 전기요금이 관리비에 포함되니까 관리비 영수증의 사용내역에 보면 나와 있을겁니다.

 

글쓴이는 7월에 435kWh를, 8월에 314kWh를 사용했습니다.

부모님 댁이 사용량이 적었는데요 8월에 126kWh를 사용했습니다.

 

그래서 부모님 댁에 누진 3단계 구간 400kWh까지 남는 270kWh 남짓한 전력을 사용하려고 합니다.

기타계절 기준으로 200~400kWh는 142원/kWh로 저렴하니까요.

270 kWh를 사용해도 142 * 270 = 3.8만원 밖에 되지 않습니다.

 

바로 이 부분 때문에 채굴이 안좋은 얘기를 많이 듣죠.

1kWh의 전기가 화력발전소에 왔던, 원자력에서 왔던, 어느 친환경에서 왔던,

생산된 전기를 전산에서 '필요없는' 연산을 하면서 소모하니까요.

 

일정부분 동의가 되는 부분입니다만, 글쓴이는 소규모 취미로 내돈내산 즐기려고 하는 목적이니,

환경에 대한 생각은 접어두기로 합니다.

 

 

 

 

2-2) 1kWh가 어느정도인지?

앞에서 글쓴이는 270kWh 남짓 전기를 사용할 요량이라고 했습니다.

보수적으로 봐서 200kWh 정도 사용한다고 보겠습니다.

 

근데 얼만큼 사용해야 1kWh가 소비되는 걸까요?

이해를 돕기위해 TV스펙을 가져왔습니다.

네이버 KU70UA7000FXKR 검색결과

70인치의 삼성TV를 사용한다면 음향이 20W고 평균소비전력이 67W입니다.

평균 소비전력에 음향이 포함되어 있는지 모르겠지만 별개라고 가정하고 계산해 보겠습니다.

그럼 87W를 사용하는 전자기기가 되겠습니다.

 

전력(W, 와트)는 전압(V)과 전류(I)를 곱해서 나오는 단위 입니다.

일률의 개념으로 보면 됩니다. (단위시간당 일의 양)

전력에 시간을 곱하면 에너지의 량이 됩니다. 1와트를 1시간 사용하면 1와트시가 됩니다.

 

그럼 87W짜리 TV를 24시간 동안 본다면?

87W x 24hour = 2,088Wh가 됩니다.

 

TV를 하루 종일 30일을 켜놓는다면?

2,088Wh x 30일 = 62,640Wh = 63kWh가 됩니다.

 

TV를 한달동안 계속 켜놓으면 63kWh의 에너지를 사용하는겁니다.

한전 전기요금에 따르면 누진 3구간에서의 63kWh는 대충 1kWh당 2백원이므로.

1.2만원 정도의 비용입니다.

 

 

 

그럼 TV 말고 채굴기를 볼까요?

보통 그래픽 카드가 없는 PC는 80W 정도 사용한다고 보면 됩니다.

사양에 따라서, 하는 작업에 따라서 다르겠지만 대충 80W라고 가정하고,

그래픽카드 하나의 전력을 알아보면요.

3060 소비전력이 200W로 표기되어 있네요.

 

나중에 알게된 것이지만 소비전력이 실제 전력과 다를 수 있으니까

채굴기가 꽂혀있는 벽의 콘센트에서 측정한 전력을 "벽전력" 이라고 부르더라고요 ㅎㅎ.

 

여튼 위에 스크린샷에 그래픽카드 3060 전력이 200W라고 되어있지만 실제 소비되는 것은 100W정도로 보면됩니다.

그럼 카드 1장으로 구성시

PC 1대 80W + 그래픽카드 1개 100W 해서 180W를 사용하게되고,

180W x 24hour x 30days / 1000 killo = 130kWh를 사용합니다.

 

숫자를 틀릴 수 있는데 계산 흐름은 같습니다.

 

 

 

2-3) 코인은 얼마나 캘 수 있는지?

그렇다면 130kWh를 사용하면 코인 얼마가 벌릴까요?

이것은 전적으로 그래픽 카드를 무엇을 쓰느냐에 따라서 달라지겠죠?

 

좋은 그래픽카들 사용하면 비싸지만 100W에 많은 코인을 캘것이고,

그저그런 카드라면 저렴하지만 100W에 적은 코인을 캘것입니다.

 

그래픽 카드별로 코인 채굴량을 볼 수 있는 사이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국내사이트는 : https://miningcalc.kr/calc/eth

해외사이트는 : https://whattomine.com/gpus

https://whattomine.com/gpus

3090을 사용한다면 114Mh/s (메가해쉬)의 속도로 채굴을 한다는 것이고,

그랬을 때 현재 이더리움 시세 기준으로 24시간에 $9.7 가치에 해당하는 이더리움을 캘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3080을 사용한다면 92 Mh/s의 속도로 채굴을 하고 그것은 $7.8에 해당한다고 써있네요.

 

 

슬슬 복잡해지죠.

 

전력과 그래픽카드를 갖추더라도,

이더리움 채굴난이도가 항상 같지 않다는 점과 이더리움의 가격은 항상 변한다는 것에 주의해야합니다.

 

이더리움 가격과 그래픽카드의 가격은 같이갑니다. (이더리움이 비싸면 그래픽카드가 비싸짐)

이것은 다음 포스팅에서 글쓴이가 맞춘 장비 목록에서 써보겠습니다.

 

 

 

"전력사용 -> 채굴 -> 이더리움시세 -> 현금화"

현금화 할 때 시세는 매일 변동되므로.. 초기 투자금과 회수 기간 또한 계산 당시의 조건을 절대적으로 만족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큰 돈을 투자해서 채굴장을 차렸는데 이더리움 가격이 폭락해버린다면 굉장한 손실을 볼 수 있는 것이지요. 반면에 저렴할 때 미리 차려놨는데 이후에 코인 가격이 상승하면 그것은 장땡이고요.

후자를 노리는 사람들이 많은 만큼 전자처럼 손해보고 채굴장을 접은 사례도 많겠죠.

 

 

 

 

2-4) 채굴기 형태

그럼 이제 실질적으로 채굴기를 만들 때 어떤 형태가 될지 구상해보겠습니다.

 

 

사업장에 놓고 대량으로 채굴하는것이 아니라면 채굴기 형태가 자유롭습니다.

일반 데스크탑처럼 조립해서 사용할 수 있고요,

그것이 아니라면 채굴기 전용 케이스를 사서 할수도 있어요.

채굴기 전용 케이스는 오픈형과 밀폐형이 있습니다.

 

일반 컴퓨터 케이스는 그래픽 카드 노출이 안되서 좋고,

경우에 따라서 PC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에 추후 그래픽카드를 1개, 2개, 3개, 4개로 확장해 간다면 장착할 수 있는 레이아웃이 안나올 수 있고,

무엇보다 열기 배출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개방형 채굴 케이스의 장점은 그래픽 카드가 노출되어 있어서 열기 순환이 좋고,

채굴 전용으로 제작되는 케이스라서 레이아웃 구성이 좋습니다.

하지만 아무래도 모든 부품이 노출되어 있으니 먼지에 취약하겠죠?

 

밀폐형 채굴 케이스는 그래픽카드를 일렬로 꽂기 좋게 해놓고,

흡배기가 용이하게 팬이 구성되어 있는 케이스입니다.

공기 흐름을 제어하기 쉽고 채굴기가 밀폐되어 있다보니까 적재가 용이하다고 하네요.

 

글쓴이는 개방형 채굴 케이스로 하기로 했습니다.

카드를 1장만 꽂을 거지만 나중에 더 생길지 모르니까요 ㅋㅋ.

네이버 "채굴 케이스" 검색결과

 

 

 

 

 

 

이번 포스팅은 여기까지 마치도록 하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질적으로 어떤 장비를 맞추었는지 썰을 풀어놓겠습니다.

 

 

 

https://pixabay.com/images/id-32773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