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IT/블로그, WEB

티스토리 검색 설정 하기 (네이버 + 구글)

반응형

티스토리 블로그를 처음 만들었습니다.

 

네이버와 구글에서는 제 블로그가 검색이 되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것은 아마 생성된지 얼마 되지 않아 노출이 안되는 상황일 것입니다.

아직 검색엔진의 로봇이 제 블로그 정보를 수집해 가지 않은 것일 확률이 높지요.

 

각 검색엔진에서는 일정 주기로 웹을 탐색하는 크롤러가 웹페이지들을 수집합니다.

사람이 아니라 봇이 자동으로 웹페이지를 긁어오는 것입니다.

웹 크롤러에는 이름도 붙어있습니다.

예를 들어 네이버 웹 크롤러는 이름이 Yeti입니다.

제 생각에는 Yeti가 아직 제 블로그의 존재를 모르고 있나봅니다. ㅋㅋ

 

검색엔진에 노출이 되는 것을 조금이라도 앞당기고자 네이버와 구글 검색엔진에

제 블로그를 추가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등록한다고 바로 나오는 것은 아니고 등록한 URL에 대해서 통계등을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지만,

조금이라도 노출을 앞당겨 줄 것이라는 믿음으로 등록 해보겠습니다.

 

등록을 하고 몇일 기다려야 색인결과가 반영되는 것에 유의해주세요.

그래도 일단 등록 해 놓고 이어서 작업을 하는게 좋습니다.

 

오늘은 등록까지만 해보도록 하고,

다음에 추가설정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1.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설정하기

 

1-1. 네이버에 로그인 합니다.

1-2.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에 접속합니다.

(링크: https://searchadvisor.naver.com/)

 

1-3.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우측 상단의 로그인을 누릅니다.

(네이버 로그인 이후에도 서치 어드바이저에 로그인 필요)

약관 동의 후 확인을 누릅니다.

 

1-4. 우측 상단의 "웹마스터 도구" 를 누르고 "사이트 등록"에 블로그 주소를 넣습니다.

 

 

 

1-5. 사이트가 본인의 소유인 것을 인증해야 합니다.

"HTML 업로드" 방식으로 인증을 하려고 했으나 Tistory에서는 불가능합니다.

티스토리는 루트 디렉토리에 파일 업로드가 불가능합니다. (하위 디렉토리는 가능)

 

HTML 메타테그를 입력하여 인증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메타테그를 복사합니다.

 

 

 

1-6.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서 "스킨 편집" 을 눌러줍니다.

 

 

1-7. 우측 상단에 "HTML 편집" 을 누릅니다.

 

1-8. </head> 위에 복사해온 테그를 붙여넣고 적용을 누릅니다.

 

 

1-9.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로 돌아가서 "소유확인" 을 눌러줍니다.

검색순위는 보장하지 않는다른 팝업이 뜨고 등록이 완료됩니다.

 

 

2. 구글 "서치콘솔" 등록하기

 

묘하게 구글과 네이버의 모듈 이름이 유사합니다.

기분 탓이겠죠.

 

2-1. 서치콘솔에 접속하고 로그인 합니다.

 

2-2. "시작하기" 를 눌러서 사이트 등록을 합니다.

우측의 URL 로 등록하기에 블로그 주소를 넣고 "계속"을 누릅니다.

2-3. 네이버와 같이 소유권을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루트 디렉토리에 HTML 업로드가 불가능하므로, 역시나 메타테그를 복사합니다.

 

 

2-4. 네이버 인증 코드를 두었던 곳에 나란히 붙여넣고 적용합니다.

 

2-5. 소유권 확인이 완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