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다반사

22년 종합소득세 신고 - 근로소득 + 구글 애드센스, 크몽 (feat. 업종코드, 소득금액, 매출액)

반응형

매년 5월은 종합소득세 신고의 날입니다.

22년 신고는 21년 귀속분에 대해서 신고를 하게 되어있습니다.

 

 

글쓴이는 근로자임과 동시에 몇 가지 추가 소득원이 있습니다.

21년도 신고 당시까지는 근로소득과 주택 외 부동산 임대 소득이 있었으나,

22년 부터는 본 블로그를 포함하여 추가 소득이 "조금" 발생하였습니다.

크몽과 애드센스 소득을 모두 합쳐도 100만원이 넘지 않는 금액이라서 무시할까 상당히 고민했습니다. 21년 신고까지는 쉽게 했는데 추가 소득이 발생해서 22년 신고분은 꽤나 골치가 아프네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구글 애드센스 소득은 기타소득으로 추가하고, 크몽 소득은 사업소득으로 추가하여 신고하는 과정을 메모했습니다. 이렇게 분류해서 신고하는 것이 맞는지 모르겠고, 구글 소득을 어떤 종류로 보아야 하는지도 헷갈리네요. 그래도 소액이니까 잘못 신고되어도 크게 지장 없겠지 라는 가벼운 마음으로 해보았습니다.

 

재미로 해본 추가 수입이 백 만원이 채 안되는데 신경을 너무 많이 쏟으면 재미가 반감됩니다.

경험이다 생각하고 적당히 알아보고 신고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습니다.

 

 

1. 시작하기 앞서

전문가가 아니고 개인이 직접 인터넷에서 조회해서 신고하다보니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보시다가 이상한 부분을 발견하면 좀 알려주십시오 ㅋㅋ. 정정신고 하게요 ㅋㅋㅋ^^

 

 

 

2. 소득 종류

(1) 크몽의 경우 사업소득으로 신고하여야 해서 금액이 작더라도 신고를 해야할 것으로 보이고요,

(2) 애드센스의 경우 기타소득으로 신고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사업소득으로 보아야 될지 조금 애매한 면이 있습니다.

글쓴이는 애드센스 금액도 150불 밖에 안되니 사업소득으로 신고하기로 하였습니다. 소득 금액이 적으니 세금을 내더라도 별반 차이 없다는 생각으로요.

 

 

'기타소득'이 간편한 점이 연간 300만원 이하의 기타소득은 신고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인데,

크몽과 애드센스의 경우 아쉽게도 사업소득으로 신고를 해야되는 것으로 보이네요.

 

 

 

(1) 재능마켓 소득종류?: 사업소득

출처: https://help.3o3.co.kr/hc/ko/articles/900004199006--%EC%9E%AC%EB%8A%A5%EB%A7%88%EC%BC%93-%EC%88%98%EC%9E%85%EC%9D%80-%EC%96%B4%EB%96%A4-%EC%86%8C%EB%93%9D%EC%9D%BC%EA%B9%8C-

 

(2) 구글 애드센스 수입도 사업소득으로 보는 것이 안전

출처: https://www.a-ha.io/questions/4c81f3043bdb8ae29fd72e8a1e9e81a3

 

 

3. 소득 금액

(1) 크몽의 경우 "매출액" 기준으로 소득을 작성하고 필요 경비 항목으로 크몽에서 발행하는 전자세금계산서 (크몽 완료 건을 월별 취합해서 메일로 날아오는 그것) 의 비용을 경비 처리 하면 될 듯해요.

 

(2) 구글 애드센스의 경우 지급 받은날의 환율을 달러와 곱한 원화 상당 액으로 신고하면 되는 것 같네요.

아래 블로그에 잘 정리되어 있어 링크 걸어두었습니다.

출처: https://prohoneypotowner.tistory.com/294

 

 

4. 업종코드

 

(1) 크몽의 경우 940909 - 기타 자영업으로 신고했습니다.

글쓴이는 사업자 등록 없이 재미삼아 크몽에서 활동을 했었고, 따라서 사업자 번호 없이 사용 가능한 940909를 사용했습니다.

출처: https://m.blog.naver.com/lands23/221713642042

 

(2) 구글 애드센스의 경우 940306 - 1인미디어창작자 로 신고했습니다.

참조한 블로그 화면과 링크입니다.

출처: https://shoppingguy.tistory.com/474

 

(3) 참고로 국세청 챗봇을 이용하여 업종코드 문의결과 아래와 같은 답변이 오네요! 신기한 세상입니다.

 

 

5. 풀리지 않는 의문

 

크몽 소득을 입력하면 필요경비로 총 수입금액의 60% 상당이 잡히는데,

사실 크몽에서 발행한 전자세금영수증 비용이 그정도가 안됩니다.

 

소액이니 서비스로 생각하고 가면되는 부분인가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