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가 덥고 습한 요즘입니다.
어제 크래프톤의 청약은 저조한 경쟁률로 마감된 가운데 이어서 플래티어와 엠로의 청약이 시작되었습니다.
간단한 개요와 첫날 경쟁률을 포스팅 합니다.
(딥노이드 수요예측결과는 4번에 써 놓았습니다.)
1. 플래티어
1) 기업개요
E commerce 솔루션과 ai를 활용한 마테크(마켓팅 테크놀로지) 솔루션 전문 기업입니다.
공모 가격은 11,000원이며
공모 주수는 180만주 입니다.
공모 규모는 198억입니다.
주관사는 2곳이며 KB증권과 하나금융투자 입니다.
중복청약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하나금융투자 배정 물량이 극히 소량이라 큰 의미는 없을 수 있습니다.
(kb 43만주, 하나 2만주)
2) 수요예측 결과
주목할 점은 38커뮤니케이션 주주동호회 창은 조용하게 흘러가는데 (아무래도 소규모 기업에 유명세를 안탄 탔인 것 같습니다.)
기관 경쟁률이 1631 대 1 로 매우 준수하고
확약률 또한 18.3%로 준수합니다.
3) 공모후 유통물량
그리고 상장 직후 유통가능 물량은 29.1%이며 그중 8.5%를 제외한 20.6%가 공모물량입니다.
구주 매출도 없으며 유통 가능 물량도 매우 깔끔합니다.
4) 첫날 경쟁률 (13시15분 기준)
KB증권
배정물량: 427,500
균등물량: 213,750
청약건수: 73,972
청약수량: 71,708,940
균등주수: 2.9주
비례경쟁률: 336 대 1
하나금융투자
배정물량: 22,500
균등물량: 11,250
청약건수: 32,421
청약수량: 4,867,270
균등주수: 0.3주
비례경쟁률: 433 대 1
경쟁률은 KB가 훨씬 유리합니다.
그도 그럴것이 배정 물량이 20배 차이가 납니다.
아마 내일이 되면 kb증권으로 들어오는 계좌수가 30만에 육박하지 안을까 추측해 봅니다.
중복이 가능하니 하나금투도 절반은 따라가지 않을까 생각이 되고
그렇게되면 경쟁률 과다로 대출청약시에 이자부담을 넘지 못할 가능성이 매우 농후합니다.
이럴 경우에 대안으로는 딥노이드를 노려보는 방법이 있습니다.
딥노이드 수요예측결과가 오늘 나오지 싶은데, 관련 내용은 별도로 포스팅으로 정리 및 메모 해두겠습니다.
2. 엠로
1) 기업개요
구매 SCM 플랫폼을 제공하는 기업입니다.
서플라이 체인 메니지먼트의 줄임말이 scm이 되겠으며, ai를 활용한 중복비용 방지등 자체 기술을 개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공모가격은 22,600원이고
공모주수는 102만주
공모규모는 230억원 입니다.
플래티어보다 조금 규모가 크지만 확연히 차이나는 점은 코넥스 이전상장 여부입니다.
엠로는 현재 코넥스에서 거래가 되고있으며 26,000원 근처의 가격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최근에 이전상장한 비운의 에브리봇이 떠오르는 군요.
주간사는 한국투자증권 하나입니다.
2) 수요예측 결과
경쟁률과 확약률이 저조합니다.
경쟁률은 686, 확약률은 8%입니다.
왜인지.. 에브리봇이 떠오르는 느낌입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에브리봇 청약 참가후 하루 하루 코넥스 시세를 관찰했던 기록을 볼 수 있습니다. 공모가에 붙어버린 코넥스 시세창을 보고는 기분이 좋지 않았던 기억이 나네요.

3) 공모 후 유통물량
공모주주 물량인 19%와 기존주주의 37퍼센트 물량을 포함하여 57%의 물량이 유통 가능합니다.
코넥스 이전상장인 만큼 기존주주 물량이 좀 있으며, 관건은 공모가격이 코넥스를 따라가느냐, 아니면 코넥스가 공모가격을 따라오느냐인 것으로 보입니다.
에브리봇은 코넥스 가격이 흐르더니 공모가격의 머리를 세게 후려친 형국이었습니다만. 이번 흐름은 어떨지 궁금합니다.
4) 경쟁률 (13시25분 기준)
한국투자증권
배정물량: 254,026
균등물량: 127,013
청약건수: 26,320
청약수량: 모름
균등주수: 4.8주
비례경쟁률: 29.4
한투의 비례경쟁률은 청약수량이 공지되지 않아 일반 경쟁률에 곱하기 2를 해서 보았습니다.
3. 글쓴이 생각
아무래도 기관 경쟁률로 미루어 보건데
엠로보다 플래티어에 개인 물량이 집중되지 읺을까 생각됩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생각해야 될 것은 플래티어의 환불일인 8월9일 월요일이 되기 전에
딥노이드와 한컴라이프케어가 청약을 마감한다는 점 입니다.
한컴라이프케어가 몸집이 큰데다 딥노이드는 소재가 좋아서 아무래도 딥노이드 쪽으로 많이 몰리지 않을까 하는 느낌이고요.
마감날 경쟁률을 업데이트 하면서 다시한번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모쪼록 재미있고 시원한 투자 되시길 바랍니다.
4. 딥노이드 수요예측결과
기관 대상 수요예측결과, 경쟁률은 1179이며 확약률은 7.3% 입니다.
공모가격은 희망 밴드의 상단인 4.2만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플래티어가 다소 사람들 입에 오르지 못했지만 준수한 기관 수요예측을 보여준 것과 대비되는 모습입니다. 생각했던 것 보다 낮은 경쟁률이네요.
딥노이드(KB증권주관)의 수요예측 경쟁률로만 보면 최근에 상장한 큐라클과 상당히 유사합니다.
업종, 물량, 규모 등을 다 제외하고 오직 수요예측 경쟁률과 확약률로만 본다면,
큐라클 경쟁률 1219, 확약률 7.2% 와 상당히 비슷하죠.
큐라클 주가는 괜찮은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이번 딥노이드도 좋은 모습을 볼 수 있을지 궁금하네요.
기관 수요예측 결과가 유사하다고해서 주가도 동일하게 흘러간다고 생각하기엔 상당한 무리가 있으니.. 참조만 해주세요^^.
'투자 > 공모주 청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딥노이드, 한컴라이프케어 경쟁률 및 균등배정 주수 (16:20 기준) (0) | 2021.08.06 |
---|---|
플래티어, 엠로 경쟁률 및 균등배정 주수 16:10 마감 (+한컴라이프케어 수요예측결과) (0) | 2021.08.05 |
크래프톤, 원티드랩 경쟁률 및 균등배정 주수 (15:30 기준) (0) | 2021.08.03 |
크래프톤, 원티드랩 청약 첫날 경쟁률 (환매청구권의 힘인가?) (0) | 2021.08.02 |
크래프톤, 원티드랩 수요예측결과 및 분석 (feat. 계륵) (0) | 2021.07.30 |